□ 목차
⦁ 서론 (Introduction)
⦁ 태국의 기후금융 흐름 (Climate Finance Flows in Thailand)
⦁ 자금조달 격차 (Financing Gap)
⦁ 권고사항 (Recommendations)
⦁ 결론 (Conclusion)
⦁ 참고문헌 (References)
□ 주요내용
(기후변화 대응투자 현황) 2018년부터 2024년까지 태국의 기후변화 완화 투자는 총 1조 6천억 바트(470억 달러)에 달했으며, 에너지 부문이 48%, 교통 부문이 16%를 차지하여 투자가 집중화.
(자금공급원 구조) 기업과 상업은행이 기후금융의 60% 이상을 제공하였으며, 주로 재생에너지와 전기차 인프라에 집중되어 농업, 용수, 폐기물, 적응 분야는 심각한 자금 부족 상황.
(투자 격차 규모) 태국이 2030년부터 2050년까지 NDC 목표와 넷제로 달성을 위해서는 연간 220280억 달러의 기후투자가 필요하나, 현재 투자 수준은 50% 부족하여 연간 110170억 달러의 격차 발생.
(부문별 자금부족 현황) 에너지 부문은 현재 40억 달러 대비 80억 달러 필요, 교통 부문은 25억 달러 대비 60억 달러 필요하여 모든 NDC 부문에서 상당한 투자 격차가 존재함을 확인.
(적응금융 미흡) 기후적응 투자는 전체 기후금융의 1% 미만에 불과하여 물 관리, 재해 복원력, 농업 등 필수 영역에 대한 자금지원이 현저히 부족한 상황.
(5대 권고사항) 촉매금융 메커니즘 구축, 녹색자본시장 확대, 제도역량 강화, 민관파트너십 프레임워크 구축, 국가 기후금융 데이터베이스 창설을 통한 체계적 접근 필요.
(정책개선 방향) 기후변화환경부의 권한 강화, 통합 국가 기후금융전략 개발, 금융추적시스템 개선, 혼합금융 확대를 통해 저탄소 경제로의 포용적이고 효과적인 전환 실현이 핵심 과제.
발행처 | ADB | 발간일 | 2025-08-01 |
---|---|---|---|
언어 | 영어 | ||
원문링크 | |||
키워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