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키르기스스탄, 기후변화·생태·지속가능발전 조정위원회를 통한 GCF 협력 프로그램 확정
⦁ 2027년까지의 GCF 협력 프로그램을 통해 국가 기후 우선순위 분야 및 국제금융 지원 필요 프로젝트 선정 완료
⦁ 세계은행, 아시아개발은행, 독일 기관, UN개발계획 등과의 협력으로 기후금융 유치 체계 구축 진행
- 무상지원 및 양허성 차관 형태의 기후금융 지원 프로그램 운영 체계
- 키르기스스탄 기후금융 발전 개념에 따른 전략적 국제협력 기반
☐ 에너지·농림수산·수자원 분야의 기후투자 집중 현황
⦁ 2010-2023년간 에너지 분야 3억 660만 달러(약 4,209억 6,180만 원), 농림수산 분야 1억 405만 달러(약 1,428억 6,065만 원) 투자 달성
⦁ 수자원 분야에서 1억 2,280만 달러(약 1,686억 444만 원) 규모의 기후 프로젝트 지원 실적
- 국제원조투명성이니셔티브(IATI) 기준 3개 핵심 분야의 총 5억 7,345만 달러(약 7,873억 4,685만 원) 투자 성과
☐ 국제기술지원을 통한 기후금융 확대 실적
⦁ 2011-2021년간 6억 2,000만 달러(약 8,512억 6,000만 원) 규모의 기후 프로젝트 자금 유치 성과
⦁ 1인당 연간 8.6달러(약 1만 1,808원) 수준의 기후금융 지원과 81% 무상지원 비중 달성
- GCF 국가 파트너로서의 체계적 기후정책 추진 기반
- 기후금융의 국가 지속가능발전 정책 핵심요소화 진행
출처 | Qazinform |
---|---|
원문링크1 | |
원문링크2> | |
키워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