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7 국가들의 스테이블코인 규제 프레임워크 구축 본격화 진행
⦁ 미국은 'GENIUS Act' 법제화로 1:1 준비금 의무화 및 이자지급 금지 등 스테이블코인 발행사 관리감독 체계 확립
⦁ EU는 'MiCA' 시행(2024.12.30)을 통한 비준수 토큰 제한 및 국가별 규제 집행체계 구축
- 영국의 법정화폐 기반 스테이블코인 정의 및 완전담보 요구사항 도입 추진 중
- 일본의 신탁은행·은행 등 승인기관 통한 스테이블코인 발행 허용 제도화
☐ 기업의 스테이블코인 결제·정산 시스템 도입 확대 추세
⦁ Shopify·Visa 등 주요 기업의 USDC 기반 결제 시스템 도입으로 2030년 연간 5-6조 달러(약 7,015조-8,416조 원) 규모 자산 거래 예상
⦁ IBM의 World Wire 플랫폼과 Finastra-Circle 파트너십을 통한 기업간 국제 정산 효율화 진행
- 기업 90%의 스테이블코인 도입과 49%의 결제 목적 활용 현황
- dtcpay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비트코인·이더리움 대신 스테이블코인 결제 전환 완료
☐ 폴카닷의 자체 알고리즘 스테이블코인 'pUSD' 출시 계획
⦁ DOT 담보 기반 초과담보 부채토큰 방식 도입으로 변동성 관리 및 탈중앙화 금융 유동성 확대 방안 수립
⦁ Honzon 프로토콜 기반 설계를 통한 DOT 담보대출 및 OpenGov 내 USDC/USDT 전환 기능 구현 완료
- 커뮤니티 75.4% 지지를 통한 프로젝트 추진 동력 확보
- 현 스테이블코인 유동성 1억 달러(약 1,403억 원) 미만 상황 개선 방안 모색 중
| 출처 | Financial Content Markets | 
|---|---|
| 원문링크1 | |
| 원문링크2> | |
| 키워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