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자료실

금융이슈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도입 가속화...글로벌 금융시스템 변화 전망

    ☐ 전 세계 130여 개국의 CBDC 도입 검토로 디지털 통화 시대 본격화

    ⦁ 글로벌 GDP의 98%를 차지하는 국가·통화동맹이 CBDC 도입을 위한 연구·시범사업 추진 중인 상황

    ⦁ 바하마, 나이지리아, 자메이카의 소매형 CBDC 선도적 도입으로 실제 운영 경험 축적

    - 미국은 의회 승인 없는 CBDC 발행 금지 법안 발의로 도입 제한 방침 수립

    - 국가별 기술·정책 표준화 협력 부재로 글로벌 CBDC 도입의 장기화 예상


    ☐ CBDC의 중앙은행 직접 보증으로 금융시스템 안정성 강화 기대

    ⦁ 중앙은행의 직접적 자금 보증에 따른 상업은행 예금 대비 신용·유동성 리스크 해소 전망

    ⦁ 수수료 절감과 디지털 금융 접근성 개선으로 금융포용성 확대 가능성

    - 국제 송금 등 고액 거래의 신원확인 및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호 체계 구축 필요성

    -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효과성 제고를 위한 직접적 자금공급 수단 확보 가능


    ☐ CBDC 도입에 따른 상업은행 시스템 불안정성 우려 대두

    ⦁ 중앙은행 발행 디지털화폐 선호도 증가로 인한 상업은행 예금 이탈 가능성 증대

    ⦁ 은행 예금 감소에 따른 대출여력 축소와 자금조달 비용 상승 리스크 확대

    - 부분지급준비제도 하에서 은행 유동성 압박으로 인한 뱅크런 발생 가능성 증가

    - 사이버공격, 기술적 장애, 시스템 중단 등 디지털 리스크 관리 체계 구축 필요성

주요사업 테이블 설명 - 출처, 원문링크1, 원문링크2, 키워드로 구분
출처 Britannica
원문링크1
원문링크2
키워드
  • CBDC

  • 디지털화폐

  • 금융혁신

  • 중앙은행

  • 금융안정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