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자료실

해외보고서

사하라이남 아프리카의 디지털 결제 혁신 (Digital Payment Innovations in Sub-Saharan Africa)

□ 목차


1. 서론

A. 사하라이남 아프리카의 디지털 결제 혁신

B.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경제의 구조적 특징

C.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디지털 혁신 발전을 위한 핵심 이슈

2. 사하라이남 아프리카의 디지털 결제 환경

3. 사하라이남 아프리카의 중앙은행 디지털통화(CBDC)

4. 사하라이남 아프리카의 빠른 결제 시스템(FPS)

5. 사하라이남 아프리카의 민간 모바일 머니

6. 사하라이남 아프리카의 암호자산

7.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전역의 디지털 결제 생태계 강화를 위한 정책 권고

A. 효율적인 디지털 결제 혁신 발전을 위한 구조적 장애요인 및 병목현상 해결

B. 특정 위험 완화

C. 활성화되고 경쟁적이며 안전한 환경 조성을 통한 민간부문 발전 및 혁신 지원

D. CBDC를 포함한 공공부문 디지털 결제 혁신의 민간부문 디지털 솔루션 대체재가 아닌 보완재로서의 탐색

E. 공공재정에서의 디지털화 활용

F. 광범위한 효과를 위한 자본흐름, 기후금융, AI와의 디지털 금융 시너지

G. 결제시스템의 효율성 및 국제 상호운용성 향상을 위한 국경 간 협력

H. 디지털 개혁 의제의 핵심 기반으로서의 건전한 거시경제정책


□ 주요내용

(CBDC 및 디지털 결제 혁신)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중앙은행의 75%가 금융포용성 확대와 국내 결제 효율성 개선을 목적으로 중앙은행 디지털통화 도입을 검토 중인 것으로 조사됨. CBDC 도입의 핵심 편익으로는 거래비용 절감 및 송금 촉진 효과가 분석됨.

(구조적 특징 및 제약요인)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국가들은 모바일·인터넷 보급률 한계, 전력 공급 불안정, IT 기술격차, 낮은 금융·디지털 문해력, 느리고 비용이 높은 결제시스템 등 구조적 도전과제에 직면한 상황임. 동시에 높은 비공식성, 낮은 금융포용성, 전통적 은행 침투율 저조 등의 금융시스템 취약성이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됨.

(모바일 머니 및 FPS 발전) 빠른 결제시스템과 모바일 머니는 지역 내 이질적 발전 양상에도 불구하고 빠른 성과 창출 가능 영역으로 평가됨. 적절한 FPS 구축과 경쟁력 있는 효율적 모바일 머니 부문 조합을 통해 결제시스템의 대규모 효율성 및 포용성 향상 달성이 가능한 것으로 전망됨.

(암호자산 위험관리) 암호자산 사용은 소수 국가에 집중된 제한적 수준이며, 다수 중앙은행이 이를 규제할 적절한 프레임워크를 결여한 상태임. 암호자산의 공식 통화 또는 법정 화폐 지위 부여는 통화 주권성 및 통화·금융 안정성 훼손 위험으로 인해 회피되어야 한다는 권고가 제시됨.

(정책 우선순위) 효율적인 디지털 결제 혁신 발전을 위해 전력·인터넷·모바일 네트워크 접근성 개선, 국가 및 디지털 신분증 보급 확대, 인적자본 투자 증대, 금융 문해력 심화 노력이 시급한 것으로 강조됨. 민간 디지털 결제 혁신의 견고한 발전과 효과적이고 상호운용 가능한 빠른 결제 인프라 구축이 핵심 과제로 제시됨.

(공공부문 역할) 공공부문 디지털 결제 혁신은 민간부문 디지털 솔루션의 대체재가 아닌 보완재로 기능해야 한다는 원칙이 제시됨. 적절한 FPS와 경쟁력 있는 민간 디지털 결제 솔루션 지원을 통해 공공부문 디지털 계획이 모바일 머니 제공업체 및 상업은행과 경쟁관계가 아닌 협력관계 구축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됨.

(국경 간 협력) 결제시스템의 효율성 및 국제 상호운용성 제고를 위한 국경 간 협력이 중요하며, 조기 지역협의를 통한 상호운용성 촉진으로 법적·규제적·기술적 해결책의 일관성 확보가 필요함. 건전한 거시경제정책이 디지털 개혁 의제의 핵심 기반으로서 현지 통화 및 경제에 대한 신뢰 구축과 소비자 신뢰·보호 증진에 필수적인 것으로 강조됨.

주요사업 테이블 설명 - 출처, 원문링크, 키워드로 구분
발행처 IMF 발간일 2025-06-27
언어 영어
원문링크
키워드
  • 디지털 결제 혁신

  • 중앙은행 디지털통화

  • 금융포용성

  • 모바일 머니

  • 빠른 결제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