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배경
A. 맥락 및 거시금융 발전
B. 금융 부문 현황
시스템적 리스크 평가
A. 금융 부문 취약성 및 리스크
B. 리스크 분석 체계 및 거시금융 시나리오
C. 전염 분석
D. 기업 취약성 분석
금융 부문 감독
A. 시스템적 리스크 감독 및 거시건전성 체계
B. 은행 감독 및 규제
C. 금융 건전성
시스템 유동성, 금융 위기 관리 및 정리제도
A. 시스템 유동성 관리
B. 금융 안전망 및 위기 관리
당국의 견해
□ 주요 내용
(금융시스템 구조) 아제르바이잔의 금융시스템은 GDP 대비 61% 규모로 은행 중심 구조를 형성하고 있으며, 전체 금융자산의 66%가 은행부문에 집중되어 있고, 5개 국내 시스템적 중요 은행(D-SIBs)이 전체 은행자산의 75%를 차지하는 과점적 시장구조 형성.
(취약성 및 위험) 기업예금에 대한 높은 의존도, 금융 부문의 달러라이제이션, 대출 집중도 및 무담보 소비자대출의 급증이 주요 취약요인으로 작용하며, 석유와 가스 가격 변동에 대한 경제 의존도가 금융부문 안정성에 위험 요소로 작용.
(스트레스 테스트) 은행권은 심각한 역경 시나리오에서도 대체로 회복력을 보이나, 일부 은행은 자본 완충 수준이 낮아 압박에 직면할 수 있으며, 유동성 버퍼는 심각한 충격에 대응할 수 있으나 일부 은행은 지원이 필요한 상황 발생 가능성 존재.
(감독체계) 2019년 금융감독 기능이 중앙은행으로 이관된 이후 규제 개혁이 활성화되었으나, 통합 감독, 금융안정위원회 설립, 중앙은행 독립성 강화 등의 과제가 해결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음.
(건전성 감독) 바젤 III 기준 적용 및 리스크 기반 감독 모델 개발 등 은행 건전성 감독을 강화하는 중이며, 2025년부터 0.5%의 경기대응 완충자본 도입 예정.
(금융안전망) 은행 정리 및 위기관리 체계가 개선되었으나, 금융안전망 효과성 강화를 위한 제도적 정비, 조기개입 체계, 정리계획 수립 및 예금보험 제도 개선이 필요함.
(시스템 유동성) 은행간 및 국채 시장 발전, 담보 관리체계 개선을 통한 시장 유동성 강화가 필요하며, 비상 유동성 지원체계 구축으로 금융 안정성 제고 필요.
발행처 | IMF | 발간일 | 2025-04-22 |
---|---|---|---|
언어 | 영어 | ||
원문링크 | |||
키워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