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해외금융 자료실

보고서

사우디 아라비아: 금융 부문 평가 프로그램-금융시스템 안정성 평가 (Financial Sector Assessment Program-Financial System Stability Assessment)

□ 목차
1. 핵심 요약
2. 배경
  A. 거시금융 맥락
  B. 금융 부문 구조
3. 시스템적 위험 평가
  A. 주요 위험 평가, 방법론 및 시나리오
  B. 은행 스트레스 테스트
  C. 상호연계성
  D. 기업 부문
4. 금융 부문 감독
  A. 거시건전성 정책
  B. 금융 감독 및 규제
  C. 금융 건전성
  D. 시스템적 유동성 위험 관리
5. 금융 안전망
  A. 정리제도 및 예금보험
  B. 긴급 유동성 지원
6. 금융 부문 발전
7. 당국의 견해


□ 주요 내용
- (금융시스템 구조) 사우디 금융시스템은 GDP 대비 143% 수준으로 상업은행과 국영금융기관이 주도. 은행산업 관련해서, 상위 2개 은행이 전체 은행자산의 거의 절반을 차지하는 집중화된 구조 형성. 전체 자산의 75% 이상이 샤리아 적격 (SC) 상품으로 구성되어 세계적으로 높은 이슬람 금융 비중 보유.
- (거시경제 환경) 비전 2030 하에 강력한 국가 주도 경제 전환이 진행 중. 소유 자산이 GDP의 70%에 달하는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PIF)가 핵심 역할을 담당. 주택소유율 확대 정책으로 건설경기 및 모기지 대출이 급증하고 있으며, 대형 부동산·인프라 프로젝트가 활발히 진행 중.
- (금융안정성) 은행권은 높은 자본적정성과 수익성을 보유하고 있으며, 심각한 거시경제 충격에도 복원력 있는 것으로 평가. 기업대출이 가장 큰 자산 부문을 차지하며, 소매 부동산 대출은 2019년 이후 3배 이상 증가했으나 낮은 불량대출률 유지.
- (시스템 리스크) 스트레스 테스트 결과 은행권이 심각한 유동성 충격과 자본 손실에도 대체로 회복력이 있는 것으로 확인. 그러나 자금조달 집중도 상승, 신용성장이 예금증가율을 상회하는 상황, 비전 2030 프로젝트의 자원 경쟁 및 지연으로 인한 위험, 대형 예금자 의존도 증가 등 잠재적 취약요인 존재.
- (감독체계) 은행 규제·감독 체계가 강화되었으나, 사우디아라비아 중앙은행(SAMA)의 운영 독립성, 투명성 강화 및 법적 보호 확대가 필요. 최근 이슬람 금융 규제 프레임워크를 개선했으나 효과적인 이행을 모니터링하고 확인할 수 있는 감독 도구 개발 과제가 남아있음.
- (위기관리) 금융안전망 측면에서 시스템적으로 중요한 금융기관법(SIFIL) 도입 등 진전이 있으나, 모든 은행을 명시적으로 포함하도록 법 개정 필요. 효과적인 위기관리를 위해 은행 특화 청산 프레임워크 구축 및 긴급유동성지원(ELA) 체계 확립 필요.
- (정책권고) 거시건전성 정책으로 경기순환 완충자본 도입, 대출 부문별 집중위험 모니터링 체계 구축, 부동산시장 통계 개선, 국영개발기금에 대한 독립 감독 도입, 핵심 시스템 위험 지표 개발 및 정보 공유 체계 강화 필요.

주요사업 테이블 설명 - 출처, 원문링크, 키워드로 구분
발행처 IMF 발간일 2024-07-17
언어 영어
원문링크
키워드
  • 금융안정성

  • 시스템위험평가

  • 거시건전성정책

  • 이슬람금융

  • 금융안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