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 서문
⦁ 약어
⦁ CARF XML 스키마
- 소개
- CARF 스키마 정보
- 수정사항
⦁ 부록 A. CARF XML 스키마 v. 1.4 도표
⦁ 부록 B. 네임스페이스 용어집
□ 주요내용
(소개) 이 문서는 암호자산 보고체계(CARF)에 따른 정보의 자동 교환을 지원하는 XML 스키마에 대한 기술적 업데이트 가이드를 제공하며, 국제 조세투명성 노력의 일환으로 개발되었음.
(스키마 구조) CARF XML 스키마는 주요 4개 섹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메시지 헤더, 조직당사자 유형, 개인당사자 유형, CARF 본문으로 이루어져 암호자산 서비스 제공업체 및 사용자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함.
(보고 대상 거래) 관련 거래 정보에는 관련 암호자산과 법정화폐 간 교환, 하나 이상의 관련 암호자산 간 교환, 관련 암호자산의 이체가 포함되며, 소매결제 거래 및 미호스트 지갑으로의 이체도 보고대상에 해당함.
(데이터 요소 분류) 스키마의 각 데이터 요소는 검증(Validation) 또는 선택(Optional) 요소로 분류되며, 검증 요소는 모든 데이터 레코드에 반드시 존재해야 하고 자동화된 검증 확인이 가능함.
(정정 및 삭제) CARF XML 스키마는 RCASP와 암호화폐 사용자라는 두 가지 수정 가능한 유형을 포함하여 대상화된 정정 보고를 용이하게 하며, DocSpec 요소를 통해 정정이 필요한 레코드를 식별함.
(국내 활용) XML 스키마는 주로 세무당국 간 CARF 정보 교환을 위해 설계되었지만, 관할 당국의 국내법이 허용하는 범위에서 보고 암호자산 서비스 제공업체의 국내 보고에도 활용 가능함.
(기술적 특징) 스키마는 ISO 국가코드, 통화코드 등 국제표준을 준수하며, 메시지 식별자와 문서 참조 ID의 고유성을 보장하여 공간과 시간상 유일한 식별이 가능하도록 설계됨.
(지속적 개선) 2024년 승인된 이전 사용자 가이드를 기반으로 다수의 기술적 조정사항을 포함하여 지속적인 개선을 통해 암호자산 보고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제고함.
발행처 | OECD | 발간일 | 2025-08-19 |
---|---|---|---|
언어 | 영어 | ||
원문링크 | |||
키워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