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자료실

해외보고서

콜롬비아 개방형펀드 유동성 (Colombia Open-Ended Fund Liquidity)

□ 목차

I. 서론


A. 미션의 개요 및 범위

B. 배경


II. 리스크 완화 및 권고사항


A. 개방형펀드 유동성 감독

B. 머니마켓펀드의 리스크 프로파일

C. 고정소득 개방형펀드의 유동성

D. 유동성 관리 도구

E. 개방형펀드에 관한 기관 간 유동성 실무그룹 및 리스크 성향 개발


결론

□ 주요내용

(서론)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중 콜롬비아 개방형펀드는 전례 없는 환매압박을 경험했으나 펀드 중단 사례는 발생하지 않아 상당한 회복력을 입증했음. 한국 대비 32% 규모인 24.6조 페소의 자금 유출이 단일 월에 집중되는 극한상황에서도 시장 안정성을 유지함.

(규제체계) 콜롬비아 개방형펀드 규제는 최소유동성 요건을 통해 강력한 리스크 관리체계를 구축하고 있으며, 유동성리스크지표(LRI)를 통한 주간 모니터링 시스템을 운영. SFC의 스트레스 테스트 및 데이터 수집 역량은 국제 모범사례 수준에 도달함.

(머니마켓펀드 리스크) 콜롬비아 머니마켓펀드는 가중평균만기(WAM) 365일 허용으로 지역 및 글로벌 동종업계 대비 과도한 리스크 노출상태에 있음. 칠레 90일, 브라질 60일, EU 60일과 대조되는 고위험 구조로 인해 유동성 충격에 취약한 상황임.

(포트폴리오 집중도) 머니마켓펀드와 고정소득 개방형펀드 간 자산구성의 유사성이 85% 이상 예금증서 및 요구불예금 집중으로 나타나며, 이는 금융기관 자금조달의 6%를 차지하는 시스템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 포트폴리오 다변화 부족으로 인한 집중위험이 심각한 수준임.

(감독권한) SFC의 일방적 펀드거래 중단권한 부재 및 영구성 계약 전환 지시권한 제약으로 인해 효과적인 위기대응체계 구축이 제한적 상황. 현행 체계는 펀드운용사의 자발적 비상계획 발동에 의존하는 구조적 한계를 보유함.

(유동성관리도구) 예고기간이 있는 주식클래스, 게이트, 최소위험잔액 요건 등 유동성관리도구에 대한 규제체계상 명확성 부족으로 시장참여자들의 활용도가 저조한 상황. 기관투자자의 선점우위 리스크 완화를 위한 도구 도입이 필요함.

(기관협력) BanRep, SFC, URF 간 기관간 실무그룹 설치를 통한 리스크 성향 수립 및 정책 트레이드오프 관리가 시급한 과제로 대두. 금융안정성 모니터링, 감독 및 투자자보호, 법적 초안작성 및 정책개발 간 조율체계 구축이 핵심 과제임.

주요사업 테이블 설명 - 출처, 원문링크, 키워드로 구분
발행처 IMF 발간일 2025-07-23
언어 영어
원문링크
키워드
  • 개방형펀드 유동성

  • 머니마켓펀드 리스크관리

  • 금융시스템 안정성

  • 유동성관리도구

  • 기관간 협력체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