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1. 서론 (Introduction)
2. 환경 및 기술적 증거 (Setting and Descriptive Evidence)
2.1 제도적 맥락 (Institutional context)
2.2 데이터 (Data)
2.3 새로운 양식화된 사실들 (New stylized facts)
3. 모델 (Model)
3.1 설정 (Setup)
3.2 균형 분석 (Equilibrium analysis)
3.3 실증적 예측 (Empirical predictions)
3.4 모델링 선택에 대한 논의 (Discussion of modeling choices)
4. 실증 분석 (Empirical Analysis)
4.1 추정 전략 (Estimation strategy)
4.2 추정 결과 (Estimation results)
4.3 강건성 (Robustness)
5. 광범위한 함의 (Wider Implications)
5.1 전국 집계 영향 (Aggregate national impact)
5.2 대출에 대한 후속 영향 (Downstream impact on lending)
6. 결론 (Conclusion)
□ 주요내용
(네트워크 효과와 상호운용성 딜레마) 디지털 결제 기술의 네트워크 효과는 소수 플랫폼의 지배 위험과 시장 분산화 간 딜레마를 야기하며, 상호운용성이 이러한 긴장관계 해결의 핵심으로 분석.
(인도 UPI 시스템 활용) 세계 최대 규모 실시간 결제 시스템인 인도의 통합결제인터페이스(UPI)와 기존 핀테크 기업 데이터를 활용한 네트워크 통합의 자연실험 설계 및 실증분석 수행.
(분산도와 상호운용성 효과) 이론모델을 통해 상호운용성 도입 이전의 네트워크 분산 정도가 높을수록 상호운용성에 의한 디지털 결제 사용량 증가 효과가 더 클 것으로 예측.
(지역별 차별적 영향 분석) 통합 이전 결제시장이 더 분산되어 있던 지역에서 통합 후 월평균 디지털 결제액이 88% 증가하는 등 상호운용성의 차별적 효과를 실증적으로 확인.
(플랫폼 간 거래 증가) 상호운용성 도입으로 새롭게 가능해진 서로 다른 앱 간 거래가 크게 증가하였으며, 이는 사용자들이 플랫폼 간 결제 기능을 높게 평가함을 직접적으로 입증.
(전국적 집계효과 추산) 이론모델과 실증분석을 결합하여 두 네트워크 통합이 통합 후 1년간 전국 디지털 결제 사용량을 50% 이상 증가시킨 것으로 추정.
(금융포용성 확대) 디지털 결제 사용량이 크게 증가한 지역에서 비은행금융기관으로부터의 대출이 더 많이 증가하여 상호운용성이 금융접근성 개선에 기여한 것으로 확인.
(정책적 함의 도출) 결제시스템의 상호운용성 강화가 네트워크 분산화 비용을 최소화하면서 사용자 선택권을 보장하는 효과적 방안임을 시사하며, 국경 간 결제시스템에도 적용 가능한 정책적 시사점 제공.
발행처 | IMF | 발간일 | 2025-06-27 |
---|---|---|---|
언어 | 영어 | ||
원문링크 | |||
키워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