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자료실

해외보고서

세계경제전망 업데이트: 지속되는 불확실성 속에서 연약한 회복세 (World Economic Outlook Update: Global Economy: Tenuous Resilience amid Persistent Uncertaint

□ 목차

1. 지금까지는 회복세 유지

2. 교차흐름이 전망을 흐림

3. 흐릿한 지평선 위의 위험요인들

4. 신뢰 회복과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정책


□ 주요내용

(글로벌 성장 전망) 2025년 전세계 경제성장률은 3.0%, 2026년은 3.1%로 전망되며, 이는 4월 WEO 대비 각각 0.2%포인트, 0.1%포인트 상향 조정됨. 관세 인상 예상에 따른 선적 증대 효과 및 미국 실효관세율 하향조정이 주요 상향요인으로 작용.

(물가 전망) 전세계 헤드라인 인플레이션은 2025년 4.2%, 2026년 3.6%로 하락할 전망이며, 이는 4월 전망과 유사한 경로를 유지함. 미국에서는 목표치 이상 지속, 다른 주요국에서는 보다 온건한 인플레이션 압력 예상.

(리스크 평가) 전망에 대한 위험요인은 4월과 마찬가지로 하방위험에 편중되어 있음. 실효관세율 반등, 높은 불확실성 지속, 지정학적 긴장 고조 등이 성장 둔화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

(금융여건 개선) 전세계 금융여건이 4월 이후 완화되면서 주식시장은 반등하고 신용 스프레드가 축소됨. 미국 달러화 약세가 예상과 달리 지속되며 신흥시장국의 통화정책 여유분 확대에 기여.

(교역 및 투자 활동) 1분기 전세계 성장률은 예상치를 0.3%포인트 상회했으나, 관세 부과에 따른 왜곡현상이 내재적 견고함보다 더 큰 요인으로 작용. 국제교역과 투자가 성장을 견인한 반면 민간소비는 주요국에서 부진 지속.

(지역별 성장 전망) 선진국 성장률은 2025년 1.5%, 2026년 1.6%로 전망되며, 신흥국은 4.1%, 4.0%로 예상됨. 중국의 경우 2025년 성장률이 4.8%로 4월 대비 0.8%포인트 상향 조정.

(정책적 대응 방향) 무역정책 불확실성 완화를 위한 투명하고 예측가능한 무역체계 구축이 필요하며, 재정건전성 확보 및 중앙은행의 신중한 통화정책 운용이 중요함. 구조개혁을 통한 중장기 성장동력 확충이 필수적.

주요사업 테이블 설명 - 출처, 원문링크, 키워드로 구분
발행처 IMF 발간일 2025-07-01
언어 영어
원문링크
키워드
  • 세계경제성장

  • 무역정책 불확실성

  • 인플레이션

  • 글로벌 금융여건

  • 구조개혁